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537

엘지 건조기 에러코드별(OE/CL/DE/NF/NE) 해결방법 요즘 건조기 한대씩 있는 가정이 많이 있는데요. 빨래를 널어서 말리다가 건조기를 사용하면 편한 살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건조기 고장이 발생하면 일일이 다시 빨래를 널어야 해서 많이 불편한데요. 오늘은 엘지 건조기 고장이 생겼을때 에러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 건조기 에러코드 원인 > OE/CL/DE/NF/NE ● 고객센터 에러 접수 ▶ 참고 : LG고객센터 바로가기 건조기 에러코드 원인 1. OE 에러코드 OE에러코드는 배수통비움 에러로 배수펌프 작동의 문제로 생기는 에러코드인데요. 평소 건조하면서 발생한 물이 일정부분 제품에 남아있게 되는데, 겨울철이 되면 남아있던 물이 얼어 배수펌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에러가 생기게 됩니다. OE 에러코드 해결방법 1. 배수호스가.. 2023. 1. 30.
월세 현금영수증 신청방법 연말정산을 맞아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많이 알아보고 있는데요. 월세를 내며 거주하고 있는 분들의 경우 월세 현금영수증 신청을 하시면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월세 현금영수증 신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 월세 현금영수증 신청조건 ● 월세 현금영수증 신청방법 ▶참고 : 홈텍스홈페이지 바로가기 월세영수증 신청조건 월세 현금영수증을 신청하려면 무주택자이거나 주택보유자일 경우에는 자택가액이 3억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또한 전입신고가 되어있어야하며, 연 7,000만원 이하 소득자여야 합니다. 또한 주민등록등본상의 주소와 임대차 계약서 상의 주소가 일치해야 합니다. 위의 모든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현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하며, 월세납부 후 3년이내에 신고한 것에 대해서 현금영.. 2023. 1. 28.
에너지바우처 신청자격과 신청방법 난방비 폭탄을 맞고 있는 요즘, 난방비 절약방법에 대해서 많이 궁금하실텐데요. 오늘은 난방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겨울바우처인 에너지바우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 에너지바우처란 ● 에너지바우처 신청자격 > 지원제외대상 ●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 ● 에너지바우처 신청방법 ▶참고 : 바우처잔액조회 바로가기 에너지바우처란? 에너지바우처란 겨울바우처라고도 불리며 경제적인 부담으로 에너지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도득층과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난방비 지원금입니다. 에너지바우처로 전기, 도시가스, 등유, 지역난방,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바우처는 체크카드, 신용카드, 전용카드방식의 국민행복카드 사용방식이 있으며, 고지서를 통한 자동요금 차감방식으로 지원받을 수도 있습니다. 바.. 2023. 1. 27.
난방비 인상 앞으로 얼마나 더 오를까? 설연휴 전에 1월 도시가스 요금 다들 받아보셨을텐데요. 12월 난방비 대비 2배이상 뛴 금액을 보고 저도 많이 놀랐습니다.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는 소리가 곳곳에서 들리는 만큼 모든 지역난방요금이 인상되었는데요. 오늘은 난방비 인상율과 앞으로의 난방비 인상 계획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 난방비 인상원인 ● 난방비 인상계획 ● 난방비 절약방법 ▶참고: 도시가스캐시백 알아보기 난방비 인상 원인 난방비 인상의 원인은 2021년 하반기부터 국제천연가스 가격이 최대 10배이상 급등했기 때문인데요. 지난해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국제 에너지가격이 오르기도 했습니다. 그로 인해 도시가스 연료인 LNG 수입가가 40%넘게 오르자 정부가 4차례에 걸쳐서 도시가스요금을 올리게 되었는데요. 난방을 많이 .. 2023. 1. 27.
전월세 신고제 신고방법 전월세 신고제는 임대차3법 중 하나로 임차인워 권리를 보호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전월세 신고 의무대상이 된다면 반드시 신고를 해야하며, 미신고나 허위신고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목 차 ● 전월세 신고제 신고방법 > 오프라인 신고방법 > 온라인 신고방법 ▶참고 : 전월세신고제 과태료확인 전월세 신고방법 전월세 신고 의무화로 신고대상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전월세를 신고해야하는데요. 본인이 신고대상인지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에서 전월세신고제대상자확인을 하고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전월세 신고방법에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방법이 있습니다. ▶ 오프라인 신고방법 필요서류를 지참해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통합민원창구에서 신고해주시면 됩니다. 필요서류는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를 작성 후 서명한 뒤 사본과 함께 제출.. 2023. 1. 23.
728x90
반응형
LIST